라우터(ROUTER) VS 스위치(SWITCH)
1개의 공통점과 5개의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공통점
1. 스위칭
스위칭이란,
패킷이 장치에 도착했을 때,
패킷의 Destination Address를 보고
몇 번 포트로 보낼 지 결정하는 것이다.
스위치와 라우터 모두 각각의 테이블을 보고 어디로 보낼 지 결정한다.
차이점
1. 계층
OSI 7 Layer에서 라우터와 스위치의 layer는 다르다.
라우터 : 3계층
스위치 : 2계층
라우터는 3계층 장치이기에 IP주소를 보고 스위칭을 한다.
스위치는 2계층 장치이기에 MAC주소를 보고 스위칭을 한다.
물론 3계층 장치는 2계층 주소인 MAC주소도 읽을 수 있다.
라우터 = 3계층 + 2계층 + 1계층 이렇게도 볼 수 있는데,
이때 2계층 주소를 보고 2계층 헤더를 벗겨서 버리고, 다시 새로운 2계층 헤더를 씌운다. (마치 옷갈아입는 것과 비슷하다)
그리고 1계층에서 증폭을 한다.
2. Broadcast
라우터 : 브로드캐스트를 차단할 수 있다. 즉,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나눌 수 있다. (O)
스위치 : 브로드캐스트를 차단 못한다. 즉,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나눌 수 없다. (X)
3. Network 나누기
라우터 : 네트워크 나눌 수 있다. (O)
스위치 : 네트워크 나눌 수 없다. (X)
네트워크의 개수 =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개수
이유 :
MAC주소를 모를 때, ARP 패킷을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가지고 보낸다.
2계층 주소로는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지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지 알지 못한다. 2계층은 항상 하나의 네트워크만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ARP를 브로드캐스팅 했을 때, 받지 못하면 같은 네트워크이지만 MAC주소를 알 수 없으며 패킷을 보낼 수 없게 된다.
4. 테이블 길이
라우터 : 라우팅 테이블이 짧다.
스위치 : 스위칭 테이블이 길다.
MAC주소 : Flat하다.
IP주소 : 계층이 있다. (네트워크 주소 + 호스트 주소)
그렇기에 스위칭 테이블에서는 모든 각각의 MAC주소 정보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라우터의 경우 네트워크 주소에 대해서만 정보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10.1.1.1/16 이렇게 되어있으면 10.1.1.1 ~ 10.1.255.255 까지에 대해서는 테이블을 추가하지 않는다. (MAC주소라고 생각하면 스위치 같은 경우는 필요하다.)
5. 목적지 주소가 테이블에 없다면
라우터 : 라우팅 테이블이나 ARP 테이블에 없다면, 버린다.
스위치 : 스위칭 테이블에 없다면, 플로딩한다.
플러딩 - 모든 포트로 내보내는 것이다.
스위치가 플러딩하면 결국에는 목적지에도 도달하기에 통신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라우터처럼 버린다면, 통신이 되지 않는 것이다.
'Cloud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sec VPN - 설명 & Site-to-Site VPN 과정 (1) | 2024.02.23 |
---|---|
VLAN, TRUNK - 분할 솔루션 (0) | 2024.02.19 |
Packet Travel - 핸드폰에서 웹 페이지 접속하면 네트워크에서 이뤄지는 과정 (0) | 2024.02.17 |
Packet Travel - 다른 네트워크로 Ping을 보내면 진행되는 과정 (feat.Ping이 초반에 실패하는 이유 w/ ARP Table) (3) | 2024.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