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OS

OS 알아보고 CentOS 환경 구축

cstory-bo 2024. 1. 17. 18:36

컴퓨터 구성요소

  • CPU
    • 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
  • Memory
    • 많을수록 프로세스들이 작업하는 공간이 넓어진다.
  • Disk
    • 스토리지 
    • NAS, SAN, DAS
  • Network
    • 패킷이 왔다갔다하는 경로
    • bandwidth

Ethernet (NIC)

Ethernet은 같은 지역 네트워크인 LAN을 유선으로 구현하는 기능이며
NIC는 Network Interface Controller로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하드웨어 장치이다.

2가지 어댑터를 설정하였는데,
1) NAT - Network Address Translation
2) host only

NAT는 Network Address Translation의 줄임말로 외부 ip 접속을 위한 것입니다.
public ip -> private ip로 바꿔줍니다.

host only는 내부 같은 대역 안 p들 끼리의 접속을 위한 것입니다.

 

CentOS 

CentOS는 Community ENTerprise OS의 약자로 많은 기업들이 비용절감을 위해 사용하는 os이다.

설치파일 : centos-7 x86 iso파일을 다운받았습니다.

https://mirror.elice.io/centos/7.9.2009/isos/x86_64/퍄

https://www.virtualbox.org/wiki/Downloads

OS는 VM(virtual muchine) 위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Virtual Box도 다운받았습니다.

가상 머신 만들기

위에서 이름과 폴더를 선택하고

아직 iso 이미지를 선택하지 않고 종류와 비전만 Linux, Other Linux(64)를 선택하고 넘어갑니다.

메모리는 4096 MB, CPU는 4개 선택하고 넘어갔습니다.

Disk Capacity는 100GB를 선택하였으며 이는 프로비저닝 - 예약할당을 하는 것이기에 당장 100GB가 없어도 가능합니다.

네트워크는 위에서 말한대로 어댑터 1는 NAT, 어댑터2는 host only 어댑터로 선택합니다.

다음 확인누르고 넘어갑니다.

그러면 시간대 설정 등 다시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옵니다.

시간대 설정은 asia seoul로 맞춰줍니다.

그리고 software selection을 눌러 아래와 같은 환경들을 추가해줍니다.

server with GUI -> 
HW Monitoring Utilities
Java Platform
Large Systems Performance
Performance tools
Virtualization Tools
Compatibility Libraries
Development Tools
System Administration Tools

Disk Partitioning

  • /, rootFS(file system)(OS), 60G, FS: xfs
  • swap, swap, 8G (가상메모리=물리메모리*2 ), FS: swap
  • /boot, kernel, 500M , FS: xfs
  • /var, logdata(로그데이터가 써지는게 IO작업), 10G , FS: xfs
  • /DATA, data area, 11G FS:ext4
  • /BACKUP, backup area, 10G, FS:ext4

 

 

다음 네트워크와 호스트네임을 정합니다.

하나씩 켜주고 enp0s8 어댑터에 configure를 눌러 ip를 지정합니다.

그래고 hostname을 설정합니다.

완료 후 다음을 누르고 패스워드를 설정해주면 끝나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