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2

VLAN, TRUNK - 분할 솔루션

스위치는 건물의 층별로, 라우터는 건물별로 설치한다고 배웠다. 보안을 위해서 연구소 직원들은 다른 네트워크를 사용하려고 하면, 아래와 같이 스위치가 더 많이 필요하게 된다.(스위치는 네트워크를 분할할 수 없기 때문에) 또한, 스위치는 브로드캐스트를 차단하지 못하기 때문에 많은 장비가 연결되어있으면 해당 대역폭인 점차 브로드캐스트로 차게된다. 그래서 스위치를 분할하여 성능도 높일 수 있다. 1. 보안 + 성능 이렇게 되면 네트워크를 분할하고 싶은 수만큼 3대의 스위치가 더 붙게 된다. 스위치의 비용에 점점 더 늘어나 비용적인 측면이 매우 안좋아진다. 2. VLAN (보안 + 성능 + 비용) 그래서 VLAN이라는 솔루션이 나오게 되었다. VLAN이란, 스위치를 분리하는 솔루션이다. 아래에서는 1대의 스위치를..

Cloud/Network 2024.02.19

Packet Travel - 다른 네트워크로 Ping을 보내면 진행되는 과정 (feat.Ping이 초반에 실패하는 이유 w/ ARP Table)

Packet Travel - 다른 네트워크로 Ping을 보내면 진행되는 과정 (feat.Ping이 초반에 실패하는 이유 w/ ARP Table) Packet Tracer를 이용하여 라우터와 스위치가 아래와 같이 연결된 상황에서 PING을 보내면 어떻게 동작하는 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우선, 패킷은 간단하게 [MAC주소 [IP주소 [ Port번호 [메세지] ] ] ] 이렇게 4개의 헤더로 쌓여있다. 라우터는 L3 장비로 L2 Address인 MAC주소를 벗겨내고 IP주소를 확인한 후 새로운 MAC 주소를 씌운다. 반드시 모든 패킷은 MAC주소를 알아야 보낼 수 있다. Overview 먼저 PING은 ICMP 프로토콜로 패킷을 보낸다. 이때 Ping 보낼 때 입력한 IP주소로 Destination IP Ad..

Cloud/Network 2024.02.17